본문 바로가기

Select translate language for this page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1

[답변/3587] bt878 잔상.. 그런 잔상은.. bt878 이 문제가 아니라.. 소스 신호가 문제인 것입니다. bt878 은 그냥 신호로 전송된 것을 화면에 보여주기만 하는 것이죠. ntsc 나 pal 을 취급하고 그 신호가 even odd 로 나뉘어 있기는 하지만.. 꼭 필드마다 그 필드시점에서의 신호를 전송하라는 법은 없으니까요.. 하지만.. 일반적인 카메라는.. 필드마다 찍은 시간이 다르니 그렇게 보일수 밖에 없죠. TV 에서 안 보이는 건 많이 알려져 있다시피.. TV의 브라운관이 정밀한게 아니라서 뭉게주기 때문이고요. 카메라의 경우라면 카메라를 바꾸시면 됩니다. progressive 카메라 이고.. NTSC 로 그 출력을 내보내주는 카메라가.. 흔하지는 않지만.. 있습니다. 비싼것도 아니고요. 그럼 도움이 되길.. 2002. 9. 2.
[참고] 1.1-]1.47 투알보다 강력한.. 제가 1.0을 1.5로 오버하여 쓰고 있습니다. FSB 150이죠.. 더 강력한것 같은데요 흐.. 2002. 8. 14.
[질문] 캐쉬지연을 없앨수 있다면.. 방법은? 그런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흐.. 694X 보드에 투알 1.0을 1.5로 오버하여 쓰고 있는데.. 캐쉬지연까지 없애면 더 빨라지겠군요. 물론 라이저 개조하여 설치한 거죠. 그럼 부탁드립니다. 2002. 8. 14.
[참고] 사운드카드 처리과정 및 고려사항. 처리과정은 맞으니 제가 별로 할말은 없고요. 그렇다고 그냥 싼것을 사는 것이 옳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제 말은 비싼게 좋다는 말도 아니고.. spdif 출력 기능에 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제 경우는 훈테크 XG 를 씁니다. 지금은 사람들이 거의 안 사는 제품이죠. 그렇지만.. 뭐.. 특별히 흠잡을데는 없습니다. 중고로 잘사면 1만원에 카드만 브라켓이 1만원 이내니까.. 싸긴하죠. 어�든.. 이것을 사시라는 것은 아니고.. 친한 형과 몇가지 카드로 테스트 해보았었는데.. 그형은 사블 live를 가지고 있었죠(정확한 버젼은 모름). 그러나.. spdif 출력이 완전히 만족시켜주지 못했습니다. 그 형도 지금은 XG를 쓰고 있는데.. 그것 말고도.. 요새 나오는 5.1을 하나 또 샀었.. 2002. 6. 27.
[참고/331] 694X 보드에 투알셀 개조 우선.. 그 보드는 오훈석님의 리스트에 없네요. 즉.. 되는지 안되는지 아직 모르는 보드라는 거죠. 참고로 오훈석님 리스트는 go sell1 에서 ln 오훈석 해서 글 보시면 됩니다. 직접 테스트하시기엔 좀 무리라고 생각하시면.. 오훈석님께 메일 보내보세요. 찾아가서 테스트 한다거나 하는건.. 전혀 문제 없을겁니다. 그럼 도움이 되길.. 흠.. 혹시.. 천호근처시라면.. 제가 있는 곳이 그쪽이니 제가 도움을 드릴수도.. 2002. 6. 3.
[참고] VT6X4 IOQD 메모리 투알셀 1.0 오버 1.33G, ABIT VT6X4, 삼성 PC133 단면 256x2 이렇게 사용하고 있는데.. 좀 이상한 걸 발견했습니다. 투알셀 개조에 관한 문제는 아닌것 같고.. 보드 튜닝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산드라로 밴치마크 해보니.. 다른 부분은 문제가 없는데. 메모리 bandwidth 가 문제가 있습니다. 분명히 산드라도 133MHz 로 동작한다고 하면서도.. 성능은 PC66 만큼밖에 안나옵니다. 그러면서 조언하길 IOQD를 바꾸라고 나오는데.. 찾아본 결과 다른 보드는 보통 보드에 점퍼가 있거나.. BIOS 에서 바꾸어야 하는데.. 이 녀석은 없네요.. 이걸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본사에 메일을 보내놓긴 했지만.. 혹시 아시는 분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2. 6. 3.
[참고] 투알셀 aopen ax64 pro,abit vt6x4 aopen ax64 pro 는 결국 실패했습니다. 던전시즈의 메뉴 나올 시점에서 계속 죽더군요. abit vt6x4는 성공했습니다. 다른 부품은 다 같은걸 쓰고.. 심지어 하드와 그 안의 프로그램들 조차도.. 전혀 조작없이 사용했음에도.. 바로 잘 돌아가가더군요. 1.0 투알셀에 133 먹이니.. 1332Mhz 로 잘 표시되더군요. 하지만 이것역시 150*6 이던가.. 하여간 배수는 제대로 표시안되더군요. 속도는 정상표시되니.. 기분 좋네요. 오훈석님.. 흐.. ax64 pro 도 나중에는 업할 계획이 있긴 한데..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이번에는 라이저와 cpu 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는 방법을사용하였습니다. 절연은 3M 스카치 반투명테잎을 이용하여.. 소켓안의 접촉되는 부분에잘라붙.. 2002. 6. 1.
[질문] 투알셀 오버 불안정 도움을.. 드디어 제 컴도 투알셀 작업을 했습니다. Aopen AX64 pro 입니다. 694X 죠. 투알 1.0 과 ASUS 라이저 입니다. 테스트 결과 보드는 가장 최신 바이오스가 2000년 11월 것임에도 불구하고.. 클럭수가 133 오버시에 1326MHz 라고 표시되는등.. 거의 클럭수 표시는정확하더군요. 하지만 그 옆에 배수와 작동클럭이 좀 틀리게 표시되긴 하더군요.(150*6) 이라고나오죠. 하지만.. bios 들어가서 보면.. 133 입니다. 그리고 당연히150*6 이면 돌아가지도 않고요. 100MHz 동작시는 995MHz (150*6) 이라고 나오죠. 흐.. 좀 높은 클럭들은 배수와 동작클럭은 정확히 표시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그래도 MHz는 거의 정확하니.. 어�든.. 문제는.. 잘돌아갑니다. 정.. 2002. 5. 31.
[참고] 투알셀 제글 다시 확인하시길.. 고쳤습니다. 틀린곳이 몇군데 있었습니다.. 기쁜마음에 썼었는데.. 확인해 보니 틀린곳이 있군요 으... 지금은 모두 잘 고쳤으니 잘 보시고 성공하십시요. 2002. 5. 29.
[참고] 투알셀 ASUS 라이저 주의사항.. 다른 것 보다도.. 핀번호가 틀리면.. 라이저하나 그냥 날리는 건 기본이고.. 운 나쁘면.. 다른것도 날릴수 있겠죠. 황락수님의 참고그림은.. 일부만 있어서.. 헷갈릴수 밖에 없고 그래서 라이저하나 날렸습니다. 두군데가 그림 모양하고는 같거든요. 그러나.. ASUS 라이저는 다행히도.. 라이저를 똑바로 놓고 보면.. 소켓바로 주변에 1,2,3,... 의 번호는 안 써져 있지만.. 영문으로 된 AN, AM, AL, AK, AJ, ... 는 써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글자가 있는 쪽부터 1, 멀어지면서 2, 3, 4,... 의 배치입니다. 라이저를 CPU 슬롯에 꼽히는 부분을 아래로, 즉 똑바로 놓고 보면.. 맨아래쪽이 1 위로 가면서 2, 3, 4,... 순이죠. 영문은 맨오른쪽이 AN 왼쪽으로 가면서 A.. 2002. 5. 24.
[참고] 투알셀 라이저 좀더 보완한 방법.. 정말 좋은 방법이 생각났습니다. 그리고 저도 곧 테스트 하려고 구상하던걸.. 오훈석님과 대화중 확인한 부분도 있었고요. 그래서 결과적으로 정리한 방법은.. 라이저도 원상태로의 복구가 가능하고.. CPU 에도 전혀 무리를 가하지 않고 인두도 없어도 되는 방법을 발견한것 같습니다. 단.. ASUS 라이져에 한해서 입니다.. 다만.. 오훈석님께서.. 원래 ASUS 라이져에 대한 방법을 공개하셨고.. 더 이상 자세한 언급을 꺼리시는 관계로.. 제가 더 자세한 글을 올리기가.. 좀 어렵네요. 그럼 이만.. 2002. 5. 22.
[참고] 투알셀 개조 ASUS라이저 성공 보드는 ABIT VT6X4 이고 라이저는 ASUS, CPU는 1.1G 투알라틴입니다. 테스트 란에 있는 오훈석님의 방법이 훨씬 쉽더군요. 점퍼도 그냥 라이저에서 날려도 됩니다. 테스터로 체크하여 VSS 에 연결했죠. 황락수님의 방법은 cpu 다리에 점퍼를 날려야 하는데.. 아무래도 고정도불안하고.. VT6X4 의 바이오스 문제인지.. 클럭수는 제대로 표시는 안되었지만.. 100MHz 에 x11 로 하였으니.. 1.1 기가로 설정되서 돌아가긴 했을겁니다. 확실하지 않아서.. 66MHz x11 로 하였더니.. 7xxMhz 로 표시되더군요. 계산이 맞는거 같으니 정상동작하는 거죠. bios 업하거나.. 숫자는 틀리더라도 정상동작하면.. 사진을 첨부하여 쉽게 개조할수 있도록 올리겠습니다. 황락수님의 그림파일은... 2002. 5. 22.
[답변] bt878 risc 는.. 소스를 한번 보심이 좋습니다.. SDK 의 도스용 프로그램을 보시면.. 그 부분이 나옵니다. 메모리를 잡아서.. 정해진 risc 명령어 들을 넣는 부분이 있죠.. 878 SDK를 우선 구하셔야 겠네요. 2002. 5. 14.
[참고]무선모니터 전송데이터를 줄여야.. 제가 만든다면.. 1024*768*32bit*30 정도로 제한하겠습니다.. 맨 마지막의 리플레쉬는.. 60 까지 가면 좋긴 하지만.. 30 정도도 그리 느린건 아니라서요.. 그렇게 하니.. 755Mbps 정도면 된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뭐.. 그래도 장난이 아니긴 하군요.. 설마.. 30 이면.. 장난아니게 깜빡거려서 보기 힘들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안 계시겠죠..? 당연 모니터 측에 메모리로 버퍼 둬서.. 모니터의 리플레쉬는.. 적당히 별도로 돌아 가야죠.. 위의 리플레쉬 30은.. NTSC 를 참고로 생각하시면.. 그럼 이만. 2002. 5. 14.
[의견] 80기가, 봄잠바는 별로.. 흐.. 다들 의견이 비슷하시네요.. 아.. rpm 과.. 버퍼는 안 정하시는지요..? 7200 에 싼거.. 버퍼 작은거겠죠.. 원합니다. 2002. 5. 14.
[참고] 라이트온 800 메가, USB 라이트온에서의 800 메가를 사용하신 분의 글이 적군요. 회사에 16배속을 USB 2.0 케이스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USB 2.0 카드를 달지 않고 그냥 쓰고 있어서 1.1 로 작동됩니다. 따라서 시디를 구을때는 16배속으로 구으면 버퍼 언더런 방지기능이 작동되면서 약 20분 만에 구워집니다. USB 1.1 이라 조금 느리죠.. 어�든.. 네로에서 89분 26.31초 (786M) 라고 나오는 걸 구웠습니다. 넣은 파일들 크기의 합은 823,604,401 바이트 입니다. 시디는 TOAST (IOI) 800 메가(90분)입니다. 12배속이군요. 물론 평상시처럼 16배속으로 구웠는데.. 문제없군요. 집에 새로구한? 12101B 가 있는데.. 저녁에 테스트 해보고 이 글에 첨부하죠. 8호점에서 시디 살.. 2002. 2. 27.
[참고] 100 만원 이내 프로젝터 li commania 해서 보세요.. 컴까지 쓰실거라면.. 이왕이면 d-sub가 있어야.. www.auction.co.kr 같은데도 매물들이 좀 있더군요. 물론 같은 기종은 아니지만요.. 어차피 램프 구하기 힘든건 마찬가지라면.. 제가 쓰는 것과 비슷한 기종이 훨 좋죠.. 2002. 1. 10.
[질문] 원형카덴자가 프론트, 적당한 서브우퍼는? 원래 서브우퍼는 쓰지 않으려고 생각하고.. 아직도 당장은 들여놓을 상황도 안되는데.. 관심을 가지고 지식은 쌓아보고 있습니다. 카덴자 원형을 프론트로 쓰고 있는데.. 적당한 서브라면 어떤게 있을까요.. 서브우퍼는 가격에 비해 하는 역할을 크다고는 할수 없어서 웬만하면 사지 않으려고 합니다. 클럭스 102 가 가격에 비해서 좋다고는 하나.. 주파수 대를 보니.. 겨우 28Hz 이상이더군요.. 카덴자가 50 까지는 해주는데.. 그 정도를 위해서 투자를 해야하나 싶기도 하고..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1. 11. 19.
[질문] 스피커의 우퍼대용. 스피커란에 올렸더니 별 반응이 없네요.. 너무 어려운 내용인가.. 전문가분들이 많은 이 게시판이 역시.. 흐.. 그럼 본론은.. 프론트는 카덴자 센터는 제스피 리어는 아남 IN-X 44에 달렸던 것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은 그나마 저음이 많이 나오는 제스피에 연결해 놓고 있는데.. 물론 회로에 대해서 알고.. 문제없게 해 놓았으니 걱정은 마시고요.. 본가에 거의 안쓰는 아남 오디오에 달린 AS-500 이라는 녀석을 우퍼대용으로 써볼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우퍼의 인치수가 제법 되죠. 스피커 내부의 네트워크로 인해서 우퍼대용은 불가한가요..? 물론 별도의 우퍼전용앰프를 하나 붙이게 되면 일종의 액티브가 되는거 맞죠? 디코더는 하이텍의 SDC-1000T를 쓰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제거하고 쓴다면.... 2001. 10. 12.
[질문] 스피커의 우퍼대용. 프론트는 카덴자 센터는 제스피 리어는 아남 IN-X 44에 달렸던 것을 쓰고있습니다. 지금은 그나마 저음이 많이 나오는 제스피에 연결해 놓고 있는데.. 물론 회로에 대해서 알고.. 잘 해 놓았으니 걱정은 마시고요.. 본가에 거의 안쓰는 아남 오디오에 달린 AS-500 이라는 녀석을 우퍼대용으로 써볼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우퍼의 인치수가 제법 되죠. 스피커 내부의 네트워크로 인해서 우퍼대용은 불가한가요..? 물론 별도의 우퍼전용앰프를 하나 붙이게 되면 일종의 액티브가 되는거 맞죠? 디코더는 하이텍의 SDC-1000T를 쓰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제거하고 쓴다면.. 위험하려나..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우퍼를 사는건.. 용도나 활용도에 비해서.. 돈이 너무 많이 든다는 생각 때문에.. 쩝.. 앰프.. 2001. 10. 11.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