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lect translate language for this page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1

[질문] kit-860 모델에 대해서... 알고 오늘 중고시장에서 kit nb-860모델을 샀습니다. 어떤 제품인지 파는사람도 잘 모르더군요. 좀 알려 주세요. 대충 사양은 p-133 16/1.08G 그이후에 뭐가 있고 없는지 좀 알고 싶고 확장성에 대해서도 알고 싶네요. 그리고 최신 A/S정보도 말이에요. 그리고 액정 갈아 끼우는데 얼마나 드는지 꼭좀~~~ 알려주세요. 1998. 8. 8.
제꺼가 Kit노트북 인데...[질문] 액정이 깨져서 그런데요. 혹시 고친다면 꼭 kit에서 해야 하나요?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해서...} 혹시 용산이나 세운 상가 같은데에 노트북 전문적으로 수리하는곳은 없는지 그런데서 수리하면 어떤지... 궁굼하구요. 10.4 tft를 수리하는데 가격이 얼마나 드나요? 글구 액정의 가격에 따라 해상도가 달라지나요. 물론이겠지만 1024*768 모드와 800*600모드... 이런 고해상도 말이에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1998. 8. 8.
[참고/960] BT848요.. 다 됐는데 이미지에 접근을 못한다.. 전 DOS에서 bt84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interrupt도 거의 완성되가고 거의 다 제어가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window에 대해서는 잘 모르므로 dos에서 설명해야 하는데.. 어느 쪽이 도움이 될지요.. 말씀하시는 captest라는 프로그램은 제가 가지고 있는 vidcap이랑 음.. 그렇다면.. 거의 같은 프로그램으로 보이는 군요. 음 그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받기 위해 사용하려면.. bt848에서 bt848이 사용하는 RISC program start address 레지스터를 읽어야죠. 그 후 그 물리번지를 linear 번지로 바꾼후.. 그 내용을 읽어서 risc 프로그램을 분석해야죠.. 그럼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퍼의 물리번지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그 .. 1998. 7. 25.
[감사] 택배수령. 어제 회사로 왔군요.. 좋은 기회 제공해주신 운영진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1998. 7. 24.
[택배수령] 퀀텀하드 1개 [택배수령] 퀀텀하드 1개 1998. 7. 19.
[질문] PCI interrupt PCI irq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PCI bios32 service directory를 이용하는데.. in-line asm으로 call로 호출합니다. 이상하게 general protection fault를 내길래.. debug로 service routine을 보았더니.. retf로 return하다가 fault가 나더군요. 32bit 보호모드에서 retf면.. 32bit이 넘는 stack을 사용하게 되나요? ret면 32bit을 사용할텐데.. call로 호출했으므로 stack에는 32bit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더군요. callf로 호출해보았는데.. invalid opcode 라는 fault를 내더군요. 도움 주실수 있으신 분 부탁드립니다. 혹은 PCI irq get과 set에 대해 도움말을 주셔도 좋.. 1998. 6. 29.
[질문] watcom compiler와 extender, asm 제가 pci관련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데 문제가 생겨서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PCI bios32 service directory를 이용하는데.. in-line asm으로 call로 호출합니다. 이상하게 general protection fault를 내길래.. debug로 service routine을 보았더니.. retf로 return하다가 fault가 나더군요. 32bit 보호모드에서 retf면.. 32bit이 넘는 stack을 사용하게 되나요? ret면 32bit을 사용할텐데.. call로 호출했으므로 stack에는 32bit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더군요. callf로 호출해보았는데.. invalid opcode 라는 fault를 내더군요. 도움 주실수 있으신 분 부탁드립니다. 혹은 PCI irq .. 1998. 6. 29.
[질문] watcom compiler와 extender, asm 제가 pci관련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데 문제가 생겨서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PCI bios32 service directory를 이용하는데.. in-line asm으로 call로 호출합니다. 이상하게 general protection fault를 내길래.. debug로 service routine을 보았더니.. retf로 return하다가 fault가 나더군요. 32bit 보호모드에서 retf면.. 32bit이 넘는 stack을 사용하게 되나요? ret면 32bit을 사용할텐데.. call로 호출했으므로 stack에는 32bit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더군요. callf로 호출해보았는데.. invalid opcode 라는 fault를 내더군요. 도움 주실수 있으신 분 부탁드립니다. 혹은 PCI irq .. 1998. 6. 29.
[질문] PCI BIOS32 service directory 밑에 1038번에 질문한 것에 대해 조금 진척이 있었는데.. 또 막혔습니다. ralf brown의 interrupt list에 보면 bios32 service directory의 사용법이 나오긴 하는데. 명확하게 기술되지는 않았군요. 그래서 대강 실행을 시켜보았더니. dos extender에서 error를 내는군요 혹시 bios32 service directory를 사용해 보신 분이 있으시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1998. 6. 27.
[가입인사] 반갑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어제 가입신청을 했는데... 오늘 가입이 됐군요. 앞으로 잘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998. 6. 26.
[질문] PCI interrupt PCI 장치를 사용하여 작동을 시키고 있습니다. interrupt를 사용해야 하는데 관련 service를 찾아보니. PCI bios v2.1에 get irq table과 set irq가 있군요. get irq를 위해서 bios32로부터 PCI bios data 영역의 어드레스를 얻어서 넘겨주어야 하는데 PCI bios data 영역 어드레스를 얻을 방법이 없군요. 아 물론 protected mode 32bit이죠. protected mode 16bit과 real 모드는 주소가 정해져 있지만. 저는 watcom c compiler를 이용하고 pmode/w dos extender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1998. 6. 23.
[질문] INT31H DPMI service AX=0301H 으.. DPMI 서비스는 DJGPP에선 라이브러리가 제공되지만 저는 watcom을 써야만 하는 상태입니다.. 음 INT31H AX=0300H인 Simulate real mode interrupt는 구현되었고 잘돌아갑니다만 이상하게 INT31H AX=0301H인 call real mode procedure with far return frame은 잘 안되는군요. 아니면 watcom에서의 descriptor나 메모리 구조등을 잘 아시는 분이 있으면 도움이 될텐데.. 경험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럼 이만. 1998. 6. 5.
[질문] INT31H DPMI service AX=0301H 으.. DPMI 서비스는 DJGPP에선 라이브러리가 제공되지만 저는 watcom을 써야만 하는 상태입니다.. 음 INT31H AX=0300H인 Simulate real mode interrupt는 구현되었고 잘돌아갑니다만 이상하게 INT31H AX=0301H인 call real mode procedure with far return frame은 잘 안되는군요. 아니면 watcom에서의 descriptor나 메모리 구조등을 잘 아시는 분이 있으면 도움이 될텐데.. 경험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럼 이만. 1998. 6. 5.
[질문] INT31H DPMI service AX=0301H 잘 � DPMI 서비스는 DJGPP에선 라이브러리가 제공되지만 저는 watcom을 써야만 하는 상태입니다.. 음 INT31H AX=0300H인 Simulate real mode interrupt는 구현되었고 잘돌아갑니다만 이상하게 INT31H AX=0301H인 call real mode procedure with far return frame은 잘 안되는군요. 아니면 watcom에서의 descriptor나 메모리 구조등을 잘 아시는 분이 있으면 도움이 될텐데.. 경험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럼 이만. 1998. 6. 5.
[질문] INT31H DPMI service AX=0301H 잘 � DJGPP에서는 함수를 지원하기 때문에 쉽게 되는데.. 저는 watcom을 써야만 하는 상태입니다.. 음 INT31H AX=0300H인 Simulate real mode interrupt는 구현되었고 잘돌아갑니다만 이상하게 INT31H AX=0301H인 call real mode procedure with far return frame은 잘 안되는군요. 아니면 watcom에서의 descriptor나 메모리 구조등을 잘 아시는 분이 있으면 도움이 될텐데.. 경험이 있으신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럼 이만. 1998. 6. 5.
[질문] BT848 DMA버퍼 할당.. BT848A를 사용해서 뭘 좀 만들고 있습니다. 음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테스트 해 보니 잘 돌아가는데.. 제가 DOS용 watcom 컴파일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H/W라이브러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PCI레이스터 읽어서 848이랑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848의 DMA 콘트롤러를 위한 DMA 메모리 할당이 문제가 되는 군요. 다른 부분은 다쉽게 만들수 있겠는데.. DMA 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메모리가 연속적이어야 할뿐 아니라 phsical address를 알아야 합니다. 이에 관련된 서비스가 DPMI랑 VDS가 있는데.. dpmi는 dos protected mode interface고 vds는 virtual dma services죠. 32bit extender를.. 1998. 6. 1.
[참고] 롬은 어떻게 쓸까요. 안녕하세요. 오늘 FPGA 설계 교육용 책자를 보니 이렇게 되어 있군요. "EPROM(EEPROM 포함) 방식은 Altera, Lattice, Plus Logic등에서 사용한 것으로 EPROM 메모리와 동일한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EPROM 트랜지스터는 select와 float 두개의 게이트를 가진 구조로 float 게이트는 select 게이트와 트랜지스터의 채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들어있다. 프로그래밍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float 게이트에는 전하가 존재하지 않아서 이 트랜지스터는 보통의 경우와 동일하게 select 게이트에 의하여 turn-on 시킬수 있다. 만약, 트랜지스터가 프로그래밍 되면 float 게이트에 전하가 포획되는 상태가 되고 이 전하는 트랜지스터를 영구적으로 .. 1998. 2. 16.
[질문] PC에서 PCI burst 전송 PC에서 PCI burst write를 수행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한 byte전송에 치중하고 있더군요. 단지 PCI를 사용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PCI의 잇점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당연히 burst전송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한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대부분 PCI버스에 대한 데이터를 언급할 뿐 프로그래밍에 관해서는 언급이 없군요. win95에서 burst전송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1998. 2. 14.
2400원짜리 74541... 안녕하세요.. 엇그제 부품사러 나갔다가 황당했습니다. 74541을 쓸일이 있어서 샀는데. 제가 대충계산해보니 전류공급이 충분한게 필요해서 74F541을 샀습니다... 물론 딴거도 분명히 돼겠지만 얼마나 병렬로 확장될지 모르는 카드여서요. 어째튼 승전가서 찾으니 없다해서 석영1부 갔더니 2부에 있다해서 2부가서 샀습니다.. 단가 2천4백 몇십원... 윽.. 파는 아가씨도 한마디.. "이거 아이시 맞아??" 눈물을 머금고 열개 샀습니다. 글구 열개는 74HC로 샀는데 그건 개당 400원.. F 시리즈 정말 비싸군요.. 여기서 심각한게... 돌아오는길에 F541을 한번 보구 그런생각이 들더군요. 이놈이 말을 한다면 분명히 미국놈이니 영어루 이럴꺼라구..... "I'm F!" 히~ 죄송.. 힘냅시다!! ^^; 1998. 2. 6.
Bit/ByteBlaster... 안녕하세요. BitBlaster와 ByteBlaster의 차이는 두가지라고 생각됩니다. 하나는 PC와의 연결방법이 하나는 COM, 다른하나는 LPT인거구요 다른하나는 Download할때 BitBlaster는 .BSF(비트스트림파일)를 쭉 시리얼로 출력하는거구요~ ByteBlaster는 .SOF(SRAM Object File)을 MAX+PLUS가 다운로드 시켜 준다는데 있죠. ByteBlaster의 회로도는 데이터시트에 있습니다. 밑에서도 말했지만 www.altera.com에가면 ByteBlaster 데이터시트가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요. 누가 자료실에 올렸나요? 벌써? 잘 모름... 1998. 2. 6.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