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참고로 전..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계속 다루고 있습니다.
요새는 오디오쪽 회로에도 조금 관심을..
110/220 V 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오디오에서 중요한 것은 전원 노이즈의 수준이 문제되는 것입니다.
220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고 해서 오디오가 220V 를 그대로 쓰는 것도 아니고..
110 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고 해서 오디오가 110V 를 그대로 쓰는 것도 아니죠.
노이즈 수준은 어차피.. 주변의 전자제품 연결 상황이나.. 주변 가구들의 영향도
크고.. 주상변압기 등등도 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겠고요..
슬라이닥스라.. 제가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냥 교류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아닌가요? 노이즈와는 관련이 없을텐데..
돈을 별로 투자하지 않고 효과를 보려면..
주변(같은 방, 혹은 같은 콘센트, 혹은 같은 집, 이왕이면 크게 가면 효과가 있을거
라는 생각이 드네요.)에 전류를 많이 쓰는 제품 혹은 전류의 변동을 많이 가지는 제
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힘이 센 모터나.. 와트수가 높은 전자제품..(전열기, 전자렌지 등등.
이죠.)
보통.. 집안에 그런 제품을 연결해서 오디오에 노이즈가 유입되는 거라면 해결이 될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공장이나.. 옆집에 그런것들이 문제된다면 힘들겠죠
. 그리고 그것으로 인한 문제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추측하기도 힘들죠.
돈을 안들이려다 보니 괜히 고생만 할수도 있는 거죠.
돈이 좀 들겠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전용 전원장치를 사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디오용 전용 전원장치들이.. 오디오 잡지들에 나오죠..
무지 비쌀거 같긴한데..
참고로 전 그런 것을 쓸 생각은 추호도 업습니다.
제 시스템은 APA-6600(전에 9만원에..), AMA-6010(친구한테 공짜로),
하이텔 A/V 동 첫 자작스피커 카덴자는 다들 아실거고,
A/V 동 저가형 공구 스텐드 중고(친구에게 6만원인가..), 공구 대리석
이렇게 사용하고 있죠.
DVD 가 완전 보편화 되기 전까진.. 더 이상 돈을 들일 생각이 전혀 없고..
보편화되봐야.. 리시버나 하나 사려나.. 안 살수도 있고요..
돌비 프로로직도 그런데로 쓸만하죠.
참고 되시길..
요새는 오디오쪽 회로에도 조금 관심을..
110/220 V 를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오디오에서 중요한 것은 전원 노이즈의 수준이 문제되는 것입니다.
220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고 해서 오디오가 220V 를 그대로 쓰는 것도 아니고..
110 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고 해서 오디오가 110V 를 그대로 쓰는 것도 아니죠.
노이즈 수준은 어차피.. 주변의 전자제품 연결 상황이나.. 주변 가구들의 영향도
크고.. 주상변압기 등등도 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겠고요..
슬라이닥스라.. 제가 자세히는 모르지만..
그냥 교류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아닌가요? 노이즈와는 관련이 없을텐데..
돈을 별로 투자하지 않고 효과를 보려면..
주변(같은 방, 혹은 같은 콘센트, 혹은 같은 집, 이왕이면 크게 가면 효과가 있을거
라는 생각이 드네요.)에 전류를 많이 쓰는 제품 혹은 전류의 변동을 많이 가지는 제
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힘이 센 모터나.. 와트수가 높은 전자제품..(전열기, 전자렌지 등등.
이죠.)
보통.. 집안에 그런 제품을 연결해서 오디오에 노이즈가 유입되는 거라면 해결이 될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공장이나.. 옆집에 그런것들이 문제된다면 힘들겠죠
. 그리고 그것으로 인한 문제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추측하기도 힘들죠.
돈을 안들이려다 보니 괜히 고생만 할수도 있는 거죠.
돈이 좀 들겠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전용 전원장치를 사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디오용 전용 전원장치들이.. 오디오 잡지들에 나오죠..
무지 비쌀거 같긴한데..
참고로 전 그런 것을 쓸 생각은 추호도 업습니다.
제 시스템은 APA-6600(전에 9만원에..), AMA-6010(친구한테 공짜로),
하이텔 A/V 동 첫 자작스피커 카덴자는 다들 아실거고,
A/V 동 저가형 공구 스텐드 중고(친구에게 6만원인가..), 공구 대리석
이렇게 사용하고 있죠.
DVD 가 완전 보편화 되기 전까진.. 더 이상 돈을 들일 생각이 전혀 없고..
보편화되봐야.. 리시버나 하나 사려나.. 안 살수도 있고요..
돌비 프로로직도 그런데로 쓸만하죠.
참고 되시길..
728x90
반응형
'PC통신 HITEL 내발자국[동호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격] maxtor 61.4G 5400, rw 4x 미디어 (0) | 2001.04.06 |
---|---|
[잡담] 삼판님 절 기억하시다니.. 하하.. (0) | 2001.03.27 |
[질문] DD/DTS 디코더 DE-006 은? (0) | 2001.03.07 |
[질문] 프로로직 앰프중 preinput 있는 것? (0) | 2001.02.21 |
[참고] 김유진님의 카덴자에 대한 견해.. (0) | 2001.02.17 |
댓글